화학사고예방관리
»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컨설팅
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고 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비상대응체계를 구축·운영 하도록 하는 제도 (‘21.4.1. 시행)
※ 기존 장외영향평가 + 위해관리계획 통합
» 업무흐름도

» 컨설팅 수행내용 (계획서 작성 및 제출)
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| 2군 | 1군 |
1. 기본정보 | ||
가. 사업장 일반정보 및 취급시설 개요 | O | O |
나. 유해화학물질 목록 및 유해성 정보 | O | O |
다. 취급시설 입지정보 | O | O |
2. 시설정보 | ||
가. 공정정보 | O | O |
나. 안정장치 현황 | O | O |
3. 장외평가정보 | ||
가. 사고시나리오 선정 | O | O |
나. 사업장 주변지역 영향범위 평가 | O | O |
다. 위험도 분석 | O | O |
4. 사전관리방침 | ||
가. 안전관리계획 | O | O |
나. 비상대응체계 | O | O |
5. 내부 비상대응계획 | ||
가. 사고대응 및 응급조치 계획 | O | O |
나. 화학사고 사후조치 | O | O |
6. 외부 비상대응계획 | ||
가. 지역사회와 공조 | O | |
나. 주민보호 및 대피계획 | O | |
다. 지역사회 고지 계획 | O |
» 기대효과
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운영경력의 전문가가 사업장의 올바른 화학물질 취급 및 관리 솔루션을 제시